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DB형(Defined Benefit, 확정급여형)

    DB형(Defined Benefit, 확정급여형) 퇴직연금은 퇴직 시 근로자가 받을 퇴직금이 사전에 정해진 제도입니다. 근로자의 퇴직금 수준은 근속연수와 평균 임금에 따라 정해지고, 운용 책임은 기업에 있습니다.


    ✅ DB형 퇴직연금이란?

    DB형은 확정된 급여(퇴직금)를 지급하기 위해 기업이 자금을 운용하는 방식입니다. 즉, 근로자는 퇴직할 때 받을 금액이 명확하게 정해져 있으며, 그 금액을 보장하는 책임은 사용자(기업)에게 있습니다.

    • 📌 퇴직 시점의 평균임금 × 근속연수를 기준으로 급여 산정
    • 📌 퇴직연금 자산은 기업 명의 계좌에서 운용됨
    • 📌 자산 운용 결과에 관계없이 약속된 금액을 지급

    ✅ 기업과 근로자의 역할은?

    구분 역할 및 책임
    기업 (사용자) 자산 운용 및 수익/손실 부담, 급여 지급 책임
    근로자 수급권자이자 수동적 참여자 (운용 개입 불가)

    ➡️ 따라서 수익률이 낮더라도 근로자는 약속된 퇴직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 DB형의 장점

    • 퇴직금이 보장되어 노후 설계에 유리
    • ✅ 운용 성과에 관계없이 안정적인 수령 가능
    • ✅ 퇴직 전 평균임금이 높을수록 수령액 증가

    ✅ DB형의 단점

    • ⚠ 근로자가 운용에 직접 참여하지 못함
    • ⚠ 기업의 재무 상황이 불안정하면 지급 위험 존재
    • ⚠ 중도 퇴사 시 급여 수준이 낮아질 수 있음

    ✅ DC형과 비교해볼까요?

    항목 DB형 (확정급여형) DC형 (확정기여형)
    퇴직금 산정 방식 퇴직 전 평균임금 × 근속연수 기여금 누적액 + 운용 수익
    운용 주체 회사(사용자) 근로자 본인
    수령액 안정성 높음 (보장됨) 변동 가능
    수익률에 따른 영향 기업이 부담 근로자가 부담

    🔍 마무리 요약

    DB형 퇴직연금은 퇴직금을 안정적으로 보장받고 싶은 근로자에게 적합한 제도입니다. 다만 기업의 재무 건전성이 중요한 만큼, 자산운용 능력과 고용안정성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퇴직연금 제도를 이해하고 자신의 상황에 맞는 유형을 선택하는 것이 건강한 노후 준비의 첫걸음이랍니다.

     

    반응형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합소득세란 무엇인가요?  (0) 2025.06.26
    국가장학금 2유형  (0) 2025.06.11
    공무원 시험 문제 및 기출문제  (0) 2025.05.29
    2025년 7급 공무원시험 완벽 가이드  (0) 2025.05.29
    2025 공무원시험 종류  (0) 2025.05.29